본문 바로가기

쓰기

609c 조회 수 29064 추천 수 0 댓글 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수정 삭제

10명 중 7명은 젊은 이민자…연소득 5만달러 장벽



캐나다로 이민 온 이들은 개인소득 연간 5만달러가 하나의 고비로 나타났다. 해당 소득에 진입하면 캐나다에서 비교적 안정적인 삶을 살 수 있지만, 그 비율이 높지는 않다. 캐나다 통계청이 올해 2월 공개한 2010년에 입국한 이민자 특성을 올해 초 분석한 보고서를 토대로 현재 이민자의 모습을 찾아봤다. 권민수 기자/[email protected] 



젊은 이민자 10명 중 7명…  2010년 입국한 남자 이민자를 토대로 보면 30~34세가 전체 27.3%로 가장 많다. 이어 25~29세(22.2%)·35~39세(21.4%)로 40대 미만이 전체 남자 이민자의 71%를 차지했다. 가장 비율이 낮은 연령대는 20~24세(2.8%)이다. 이후 50~54세(3.7%)·45~49세(9%)·40~44세(13.7%) 순이다.  



여자 이민자 역시 30~34세(28%)가 가장 많고 이어 25~29세(26.3%)·35~39세(19.9%) 순으로 40대 미만이 전체 74%를 차지했다. 여자 이민자가 가장 적은 연령대는 50~54세(3%)이며 이후 20~24세(3.1%)·45~49세(7.4%)·40~44세(12.4%) 순이다. 남녀가 패턴은 거의 같다. 



주 신청자 기준 집계여서 10대 동반 가족이나 초청 이민 대상자는 포함되지 않았다.  2010년 이민자 특성을 보면 전체에서 비율은 높지 않지만 45세 이상 이민자가 1999년 이전 보다 늘어나, 거의 10명 중 1명이란 점이다. 또 80년대 후반부터 캐나다 이민제도가 학력·경력에 자격 비중을 많이 두면서, 25세 이하 젊은 이민이 10% 미만으로 줄었다. 현재 해당 연령대에서는 이민보다 유학이 보편적이다. 



이민자 고학력 현상 이어져..  이민자 학력은 80년대 후반 부터 급격히 높아졌다. 특히 2010년에 들어서면서 남자보다 여자 고학력이 더 두드러졌다. 남자 이민자 학력을 보면 학사(38.3%)·석사(28.4%)·대학중퇴(20.9%)·고졸(8%) 순이다. 여자는 학사(53.9%)·대학중퇴(20.3%)·석사(19.4%)·고졸(4.4%)순이다. 즉 10명 중 7명은 대학 이상 공부를 한 사람들이다. 



출신지 남아시아계가 동아시아계 앞서… 남자 기준 남아시아계(20.7%) 출신 이민자가 동아시아계(12.9%)보다 많다. 1990년대에는 동아시아계가 31.8%, 남아시아계가 20%였다. 즉 2000년대 들어 중국계 이민이 줄고 인도·파키스탄·스리랑카계 이민은 급격히 늘어난 추세를 보였다. 



동아시아계 이민이 많이 는 시점은 80년대 말로, 홍콩의 중국 반환이 계기가 됐다. 1981년에 동아시아계 이민자는 전체 이민자의 13.7%였으나. 1988년에는 28.1%로 급증했다. 



2000년 이민의 또 다른 특징은 남·동유럽계 이민자 비율이 90년대 16%에서 8.6%로 줄었다는 점이다. 아프리카계 이민은 90년대 7.9%에서 최근 17.4%로 크게 늘었다. 북·서유럽계 이민자 비율은 81년 35.7%에서 88년 14.5%로 급감한 후 1988년 8.1%, 1999년 9.2% 비율이다. 미국 출신 이민자는 전체 이민자의 1% 이하로 가장 드물다. 



영어 구사자 비중 높아… 제2 언어로 영어를 하는 이민자 비율은 56.8%다. 1981년 26.2%보다 2배 이상 증가했다. 원인은 캐나다 정부가 언어구사력을 1980년대 후반부터 중시했기 때문이다. 이 결과 영어 또는 불어가 제1 언어인 이들 비중도 13.5%로 늘었다. 영어와 불어는 아니지만 두 가지 이상 언어를 할 줄 아는 이민자도 16%로 적지 않다. 통계청은 “해를 거듭할 수록 캐나다 정부는 높은 수준의 언어 구사력을 요구했다”며 “정책 추진 결과로 통계상 영어·불어 구사자수는 90년대를 정점으로 꾸준히 늘었다”고 밝혔다. 



한편 통계청은 2000년대 들어 젊은 층 유학이 늘면서 캐나다에서 고등교육과정을 마친 후 이민자로 신분을 전환하는 사례가 늘었다고 밝혔다. 



이민자 소득 장벽은 5만달러… 이민자에게는 연 소득 5만달러가 일종의 장벽으로 존재하고 있다. 대체로 연간 2만달러 이상 5만달러 이하가 43%로 가장 많다. 2만달러 이하, 캐나다의 빈곤층기준(LICO)에 해당하는 소득을 버는 이민자도 25.6%에 달한다. 특히 여자 이민자는 5명 중 1명(18.4%)이 연소득 2만달러 이하다. 캐나다의 중산층 소득 기준인 연 5만달러 이상을 버는 남자 이민자는 13%, 여자는 단 6.1%에 불과하다. 한편 이민자 20명 중 1명(6.4%)은 실직 상태다. 

?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조회 수
나라망쳐먹는 경상도 인간들 08.07 7954
에어비앤비 호스팅 어시스턴트 채용 file 06.25 123079
몬트리올로 장기 출장 가게 됐는데 친구 구합니다! 05.13 599855
혹시 부페 같이 다닐 엄마들 없나요. 15 04.24 35025
냉장고가 너무 갖고 싶어요 3 04.26 26441
뉴욕 4박5일 여행법 문의 6 04.25 33455
처음 병원가고 처음 약 타봤어요 10 04.25 32829
정부 불어학교 돈 나오는거 계좌 적는데가따로 없는데 돈은 어떻게 받나요... 6 04.25 23989
화장품 12 04.25 30033
윈터 타이어.. 6 04.25 26482
명이나물 7 04.25 29572
맘 카페의 횡포 17 04.23 29676
레어 포켓몬 출몰지역이라고 하네요.. 6 file 08.16 35295
고릴라 블로그 7 06.07 33428
2010년 이민 온 그들은 지금 어떻게 사나 5 11.20 29064
몬트리올 한인 커뮤니티 하나 새로 나왔어요~ 9 03.30 33539
반성하라 3 file 04.23 29588
롱게이 브로사드 라프레리 깡디악 어디가 좋을까요 11 04.24 32684
벤틀리 봤네요 ㅎㅎㅎ 13 04.23 34136
콘도 에어컨 수리 2 04.24 36117
표독스럽게 서로 쏘아대는 것 보니 인간의 가장 근본적인 욕구중 하나를 해소 못해서 그런 것 같네요 33 04.07 30738
계속 음식 퍼주는 앞집한테 무슨 선물을 줘야 할까요....이젠 부담 되요..... 9 04.23 32599
영주권 받고나서.. 30 02.15 30940
Board Pagination Prev 1 ... 165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 218 Next
/ 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