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쓰기

a248 조회 수 14886 추천 수 0 댓글 6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수정 삭제
2612
 
 18.06.23
주치의는 보통 큰비용을 들여 "고용" 한경우지요.  그의사는 항상 그 고용주 혹은 환자의 진단 요구에 대기하고있지요.  집으로 와서 진단 치료도하고요.
대단하시네요 주치의를 두고게시니요.
혹  family doctor 나 가정의를 추치의로 오해하셧나요 아님 진짜로 한인 이세 주치의를 두고게신지요.
건강하세요
 

이거 쓴 애야. 

뭐 드라마나 쳐보고 소설 읽으면서 주치의가 부자들만 직접 고용해서 쓰는 그런 건 줄 아나본데..

 

http://www.mo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13877

 

여기 family doctor 를 주치의라고 하는게 맞단다. 모르면 좀 배우고 댓글 달길 오케이?

 

주치의제도는 지역사회 주민 개인 또는 가족이 일차의료 의사(주치의)와 지속적인 관계를 유지할 수 있도록 보험자 또는 국가가 지원해주는 제도를 일컫는 일반적인 용어다. 이 제도를 통해 환자는 주치의의 조언에 따라 합리적인 의료 서비스 이용이 가능해지며, 주치의는 일차의료 본연의 고유한 역할, 즉 최초접촉, 포괄성, 조정기능, 지속성을 갖춘 의료서비스를 자신의 등록 환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혼동하지 말아야 할 점이 있는데, 사람들이 병원에 입원했을 때 자신을 돌보는 전공의 또는 전문의를 '주치의'라고 호칭하는 경우가 있지만, 이는 '담당 의사'라고 하는 것이 더 정확한 표현이다. 주치의는 지역사회에서 주민의 건강 전반을 담당하는 일차의료 의사를 의미하며, 입원했을 때 보게 되거나 전문 질환을 치료하는 의사를 지칭하는 말이 아니다. 주치의를 맡게 되는 일차의료 의사는 지역사회의 일차보건의료 팀의 일원으로서 주민의 건강증진, 질병예방, 만성질환 관리, 그리고 의뢰-회송을 포함해서 지역의 보건의료 자원의 효율적 활용을 위한 조정기능을 수행한다. 

주치의제도는 각국의 보건의료 전통에 부합하는 이름을 가진다. 주치의제도를 통해 양질의 일차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려면 3가지 핵심요소, 즉 일차의료 의사(primary care physician), 일차보건의료 팀(primary health care team), 지불제도(payment system)를 필요로 한다. 

일차의료 의사는 유럽의 GP(General practitioner) 또는 북미의 family physician을 의미하며, 일차의료 의사가 되려면 의대 졸업 후 인턴 과정 후에도 3~6년의 일차의료 전공의 수련을 이수해야 하는 것이 세계적인 동향이다. 대부분의 선진국들은 일차의료 의사의 범위를 한정하면서 수련을 하고 국가에서 지원한다.

  • 66e8 Jun.25
    어쩌라고...
    아침부터 부들부들
  • 664c Jun.25
    고혈압 환자
  • 328e Jun.25
    예 읽기싫어패스
  • 6a2f Jun.25
    빽빽~
  • fd4f Jun.25
    답글쓴 "애" 입니다.
    자료찿느라 고생많으셨어요 몇일걸리셨네요.  
    인터넷에서 보셧다고 다 올친안지요.  외국시스템을 한국말로 쉽게 설명하며 착오가있어보이네요.  왜 여기도 별말/의견 다있잔아요.  다믿지마세요.  님은 몇살인지모르나 연륜의 판단능력이 있으시라 믿습니다. 안타깝습니다
    그리고 "애" 들 에게 너무그러지마세요.  Canada 는 청소년 보호법 엄격해요.
    어쩻든 몇일 잠못주무셨으니 주무세요.  내가 심햇어요.
    안타깝습니다
  • ad8e Jun.25
    노관심
    댓글달지마 댓글달지마 댓글달지마
?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조회 수
쿠도/텔러스 요금제 $34부터, 미국 무료 로밍 요금제 제공 05.08 128165
하.... 2 04.21 188465
Plateau 1-3 bed 가구 포함 $900/방 5월달에서 7월 말까지 여름 서블렛 합니다 (3839 Rue Saint Urbain) file 03.28 177460
안녕하세요 영주권 랜딩으로 고민이 있어서요~ 2 06.22 14428
새해각오 7 01.02 14430
박원순 빈소 이틀째 추모행렬…염수정 추기경·최장집 교수 조문 9 07.10 14433
[카메라뉴스] 대전 물폭탄…침수된 아파트에 자동차 둥둥 떠다녀 file 07.30 14434
오늘의 성경말씀 4 file 09.08 14436
이번 선거 결과가 이민 희망자 분들에게 어떤 영향을 주는지 명쾌하게 설명드립니다. 45 10.03 14437
이대 동문회 없나요 27 07.24 14438
요새 정부불어 풀타임 코스 어떤가요? 4 07.30 14439
여긴 다 느린건가 8 10.31 14440
캐나다 퍼블릭 헬스 담당자 Dr THERESA TOM 6 04.23 14445
몬트리올 유명 레스토랑 같이 가실 분~ 6 05.22 14448
아리마 신청하신분? 9 09.16 14449
이건희 회장 별세 10.25 14452
도시락 반찬 20 03.27 14454
영주권 받고나서.. 30 02.15 14455
페북 광고 보고 왔습니다. 3 04.26 14460
따끈따끈 뉴 플레이스! 방콕 아이콘시암 2 12.20 14462
Agri-food immigration 5 11.05 14464
캐나다가 잠이 부족한 나라 3위로 뽑혔다고 합니다! 4 11.04 14466
금수저 교육법 12 03.14 14468
Board Pagination Prev 1 ...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 217 Next
/ 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