몇년동안 고민하다가 친구들과 동업하기로 결정하고 가게 알아보는 중이에요.

다들 동업은 말리지만 고등학교 동창이라 20년도 더 넘은 친구에요.

렌트비때문에 한국 분들 많이 사는 동네에는 못 차리고

북쪽이나 동쪽 또는 외곽으로 알아보고 있어요.

혹시 창업 준비하는 분 계시면 같이 연락하고 지냈으면 좋겠어요.

남편이 옆에서 응원해주면 좋으련만 빵 팔아서 얼마나 남겠냐며 시큰둥이네요.

에효. 남편과 상관없이 오직 친구들과 준비중입니다.

댓글 87
1 2
7171
그럼요 ㅋㅋ 한국 사람 외면하고 장사하는곳이 젤 붐비는거 모르시나 
b20f

모나미, 가나다라 붐비는거 보세요.

거지같은 아줌마들 애들 데리고 안 와서, 장사 대박입니다.

5646
근데 불어가 되세요? 
현지인들 대상으로 할려면 불어 못하면 꽝이에요.
bd9e
잘됐네요!! 응원합니다! 
849a
능력있으신 분 같은데 잘 되어서 한국인 상대로 홍보 없이도 제가 찾아갈 수 있으면 좋겠네요!!! 
저 여기 와서 현지 빵 먹다 질린 사람이거든요ㅠㅠ 솔직히 너무 실망했어요. 
프랑스에서 넘어온 사람들이고 프랑스는 디저트 천국이니 빵집도 많고 맛도 있을 줄 알았는데 
빵집 종류도 별로 없고 프리미에므아송 거기는 좀 나은거 같은데 
그나마 먹을만한게 아몬트크로아상 뿐이네요...... 
저 진짜 소보로빵 깨찰빵 크림빵 고로케빵 너무 먹고 싶어요ㅠㅠㅠㅠㅠㅠㅠㅠ
이런거 팔면 진짜 잘팔릴거 같은데...... 
제발 좀 만들어주세요................ 
차이나타운 빵집에 크림빵 있는데 왜 다 여기는 코코넛 가루 뿌리는지ㅠㅠ 
3bd4

입맛이 된장이니, 식도락도시에 와서도 먹을께 없다고 하네요.

맛 있는 빵집, 맛 있는 레스토랑 널렸는데...

b93e
댓쓴인데요 맛있는 레스토랑은 저도 많이 알아요. 
빵집은 도대체 어디가 맛있나요?? 
슬픈 된장에게 가르침 좀 주시죠? 
괜찮다는 빵집 다 가봤는데 한국 빵집 못따라가던데요. 
크로아상은 인정합니다만.... 
a1a6

어떤 맛의 빵을 좋아하세요?

만약 달달한 빵을 좋아하신다면, 답이 없습니다.

서양, 특히 프랑스문화에서 빵은 달면 안 됩니다. 왜냐하면 음식, 치즈, 햄등 다른 것과 같이 먹기때문입니다.

쉽게 생각하면, 서양사람들이 밥이 맛 없다고 설탕넣어 먹는것을 상상해 보세요?

그래서 대부분의 한국빵은 가라빵입니다.

요새 한국에서도 달지 않은 프랑스식 빵, 많이 생겨나고 있고, 줄서서 먹죠.

몬트리올에서 사시는데, 된장입을 버리시고, 세계화된 입으로 입맛의 변화를 시도해 보세요.

a052
개개인의 입맛이죠.프랑스 사람도 한국와서 한국빵 좋아하는 사람 많아요.그리고 누가보면 백인인줄 알겠어요 ㅎㅎㅎㅎ말씀중에 된장입이 뭡니까. 프랑스빵 먹으면 세계화 입이라고 누가 그래요.ㅎㅎㅎ프랑스빵집이 파리바게트만큼 생겼나요? 한국에서 먹었던 빵이 그립다는 말을 참으로 거창하고 고상하게 비꼬시네요.
0b40

프랑스식 빵집 전 세계, 대도시 어디에나 있어요.

프랑스이름만 흉내낸 파리바게트, 전 세계 어디에 있죠?

이름도, 서울빵, 한국빵 이라고 하지, 왜 파리바게트, 프랑스를 갔다댔을까요?

더 이상 말이 필요 없죠.

글쓴 사람이 현지빵에 질렸다, 실망했다라고 썼잖아요. 글쓴 사람이 먹고싶다고 한 것, 다 된장빵이에요.

그래서, 한국와서 한국빵 먹어보는 프랑스사람처럼, 된장입맛을 좀 세계화시켜보라고 조언한 것인데, 왜 이리 비비꼬이게 받아들이시나요?

꽈배기를 좋아하시는 분인가?

8620
조언 ㅋㅋㅋㅋㅋ빵 터졌다 ㅎㅎㅎㅎㅎ
6950
조언 좋죠. 거기에 된장입이 뭡니까ㅎㅎㅎ 그런표현쓰시면서 조언이라하니 답답하군요
5edc
왜, 된장입이 어때서요?
01e9
넌 인성이 된장 ㅎㅎㅎ좋것다 ㅎㅎ
6245
이런 된장!!!
ecdc
자부심 좀 가지세요!  우리 나라 음식 자부심 가지세요. 가나다 잘되시는것도 한국음식이 맛있고 과학적 이기때문이죠..  입맛이 된장 어쩌구 하시니 한마디 합니다!
4eb8
븅신아 빵이 우리나라거냐? 왜 논점을 파악을 못해 지금 빵얘기하는거잖아 음식이 아니고
7fa2
한국빵집... 여기 현지애들은 한국빵 별루 안좋아해요. 주식으로 먹어야할 빵들이 단편이거든요. 주식으로 먹을수있는 퍽퍽한 빵을 좋아하구요. 문화차이라고 생각되네요. 댓글쓰신 분이 입맛이 된장이셔서 그런거같다고 한게 맞는듯하네요.  여기서 유명한 빵집 어딜가시던 파리바게트를 더 맛있게 느끼실테니 개인차라고 생각되요. 
5657
글쎄요 한국 빵집 안좋아한다고 왜 그렇게 생각하시죠?? 뉴욕에 파리바게트 진출해서 장사 겁내 미친듯이 잘되고 있는데요? 한인 대상 아니라 미국인들 대상으로요. 미국에 50개 넘는 파리바게트가 있는데 왜 한국 빵이 경쟁력 없다 생각하시는지 모르겠네요. 
898d

파리바게트, 몬트리올에서는 명함도 못 꺼내요.

밴쿠버나 토론토에서 온 제 캐나다친구들은 몬트리올이 좋은 점 중에 하나가, 맛있는 빵, 케익, 커피가 많아서 좋데요.

뉴욕에 있는 파리바게트 가봤는데, 손님 대부분이 한국, 동양사람이였어요.

6a07
글쎄요  본인이 사업망하시기 딱 좋겠네요.  몬트리올이랑 뉴욕이랑 비교를 하시는거보면요.  참고로 전 뉴저지에서 8년이상 거주하고 왔는데요. 파리바게트가 장사잘되는건 한국인이 많아서구요 ㅡㅡ (대부분 코리아타운에 위치하고있죠) 서양인들은 사우어도우에 환장한답니다.   그리고 파리바게트를 처음가는 서양인들은 실망하는거 아시나요? 간판은 파리바게트라고 써있는데 빵은 아시안빵이라고 ㅋㅋㅋ 파리바게트가 뉴욕에서 장사가 잘 되는 이유는 한국인많고 관광객많고 그 말고 다른 동양인들도 많아서 가능하고 또 대기업이여서 가능하죠.  그거말고는 몬트리올에서 동네빵집으로 한국빵은 경쟁력은 기대하시기 힘들답니다  그리고 한국빵이라고 하기엔 한국=중국=일본 빵들이 비슷해서 아무리 장사 잘된다해도 코코번정도의 느낌이겠죠. 코코번 보시면 무슨 생각드시나요? 한국빵도 현지인들 눈에는 똑같습니다. 
3162
글쓴이와 동업인은 한국빵 위주로 만들 생각이 없는거같은데 김칫국 그만~ 
4151
파리바게뜨는 몬트리올에서 명함도 못꺼낸다는 거 공감합니다.
Premire moisson 보다는 Le Toledo, Pâtisserie Au Kouign Amann, Le Duo Choc 추천합니다
프리미에므아송은 너무 달아요 특히 케이크나 타르트..
0e67
파리바게뜨는 몬트리올에서 명함도 못꺼낸다는 거 공감합니다.
Premire moisson 보다는 Le Toledo, Pâtisserie Au Kouign Amann, Le Duo Choc 추천합니다
프리미에므아송은 너무 달아요 특히 케이크나 타르트..
2345
무슨 나무라는 빵집있었는데 지금은 닫았나보네요.
e816
빵나무 카페 빵집 문닫음 다운타운
 그외 문닫은 가계들 
잔비어서 
가고파 
맛나 
황가네
도깨비  다운타운 
향진 
 소리도없이 문닫은곳 많음 
59b5
가계 -> 가게
가계부 쓰시다 오셨나요?
fca0
6aff
484a
슬픈된장 ㅎㅎㅎㅎㅎ
한국사람들은 한국식 빵을 먹곤 싶지만
뭐하나 생기자마자 안티들이 됨.
몬툘에서 한국인 상대로 장사 할 배짱이면 
그냥 토론토나 밴쿠버가서 하세요.
몬툘은 터가 안좋아서...
f550
토론토 밴쿠버 안 가봤죠?
1978
토론토나 밴쿠버가면 
정상:진상 비율이 훨 나음. 
ㅎㅎ
경쟁이 있어도 한국사람 상대해 장사하기 훨 좋음.
몬툘은 진상 비율이 높아서 원가 비싼 한국식 빵 등은 힘듬.
50e2
글쓴이가 렌트비 비싸서 한국인들 많은데는 못차린다고 
하고선.. 여기저기 듣기싫은 멘트가 달리니 한국인 한테 홍보하고 싶은 마음 0도 없다네요..
한국인들만 겨냥한는 것도 어리석지만 한국 사람들 배척하는것도 굉장히 어리석네요..
이런곳에 글 올리는건 좋은 소리든 싫은 소리든 들을 준비
되있는거 아닌가요?
장사하다보면 쓴소리 들을일도 있을텐데 그때마다
기분나쁜말 이라 치부하고 받아들이지 못하고 ..
변화하지 못한다면 글쎄요...
그 친구분은 굉장히 고집 센 분일거 같네요.
0d90
사람까지 평가하네 ㅎㅎㅎㅎ그럼 당신은 오지랖 넓은사람이구만 
ce46
ㅋㅋㅋ ㅄ들 멀리까지 가서도 싸우고 있네
acea
여시면 홍보 해 주세요. 꼭 한번 갈게요. 전 외곽지역이라 오히려 한인 밀집 지역에 한번 나가는게 일이라.. 예쁜 마카롱이랑 더 예쁜 케이크 먹고 싶네요 ^^* 
4454
창업은 신중히 선택하시길
2018.03.28
조회 154593
165
2023.01.20
조회 63942
10
2016.11.04
조회 72237
18
2018.06.08
조회 120607
46
2023.03.01
조회 57554
3
2020.04.13
조회 44411
22
2020.04.13
조회 49456
35
2017.02.21
조회 107841
102
1 7 - 218